신문보도자료

  • 신문보도자료

신문보도자료

[아시아투데이 인터뷰 2011. 5. 23] 저자를 만나다

*“카이스트 학생들의 자살은 미숙한 뇌구조 탓”
[저자를 만나다] ‘사춘기 뇌가 위험하다’ 김영화 강동소아청소년신경정신과 원장

[ⓒ '글로벌 석간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아시아투데이=주진 기자] “우리 아이들이 부모의 말에 걸핏하면 짜증내고 토라지고, 반항하거나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은 모두 미숙한 뇌 때문이에요. 사춘기 뇌는 지금도 자라고 있습니다. 이성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전두엽은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못했어요. 사춘기 자녀들과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선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라는 해법을 제시한 사례들이 많은데 그보다 앞서 아이들을 이해하려면 사춘기 뇌를 알아야 합니다.”

김영화 강동소아청소년정신과 원장은 23일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부모들에게 “사춘기 자녀들의 마음이 아닌 뇌를 먼저 치료하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 원장은 20년간 수만 명의 사춘기 청소년을 상당한 경험을 바탕으로 게임중독, 우울증, ADHD, 청소년 비행에 빠진 ‘1024’ 사춘기 뇌의 비밀을 푼 책, <사춘기 뇌가 위험하다>(해피스토리 펴냄)을 최근 펴냈다.

이 책은 최근의 CT나 MRI 같은 뇌영상기술의 발달로 살아 움직이는 뇌를 직접 들여다보고 밝혀진 사춘기 뇌의 특징을 부모들이 알기 쉽게 속 시원히 풀어냈다.

“후기 청소년 뇌에는 천억 개의 세포가 존재하는데 이 천억 개의 세포(뉴런)는 다시 천조에 달하는 연결을 만들어냅니다. 이처럼 엄청나게 많은 세포를 만들어내면서도 동시에 세포 연결의 15% 정도를 가지치기를 해 잘라냅니다. 아이와 어른이 뇌에서 1-2% 정도의 세포를 가지치기하는 것에 비해 폭발적인 활동력을 보이는 것이죠. 하루는 갑가지 어른스러운 말을 하다가도 다음날은 그 생각을 잊고 다시 어린아이가 되는 것은 뇌의 세포 변화 때문입니다.”




김 원장은 통상 만 12세~18세이던 사춘기 기간이 지금은 10세~24세로 늘어났으며, 이들 사춘기 청소년들은 인터넷과 멀티미디어에 빠져 살면서 학업 스트레스는 매우 극심하고, 부모의 과잉보호 속에 자라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이 덜 되어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매년 200명 이상의 청소년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있는데, 이 가운데는 공부 잘하는 아이들이 많아요. 카이스트 학생들이 왜 자꾸 자살하는가. 그건 건강한 뇌를 만들지 못해서입니다. 일방적으로 공부만 시킨 뇌는 좌절이나 실패를 견뎌낼 힘이 없고 매우 취약합니다. 사춘기 뇌는 오감 자극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 발달하는데, 경험은 다양한 사람들과 부딪쳐 생기는 관계에서 나오지요. 멋진 뇌는 (세포) 가지치기를 많이 해서 풍성하게 뻗어나가는데, 카이스트 학생들처럼 1, 2등만 한 아이들의 뇌는 한 방향으로만 뻗어나간 가지와 같아요. 결국 그 가지만 잘라내면 나무가 죽고 마는 거죠.”

김 원장은 나무 밑둥이 튼튼한 건강한 뇌를 만들기 위해선 지능 개발과 함께 EQ(감성) SQ(사회성)를 발달시키는 운동, 자원봉사, 예술활동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운동을 꾸준히 하는 학생이 공부도 잘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면서 ‘복합적인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한 뒤 사춘기 뇌의 최고 영양분은 고전문학과 클래식 음악이라고도 소개했다. 이어 사춘기 시절을 보내는 중고등학교에서 이러한 활동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공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취약하고 환경에 쉽게 자극을 받는 청소년의 뇌가 술이나 담배, 마약 등에 노출된다면 그 어느 시기보다 큰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중독도 쉽고 회복도 쉽지 않다”고 경고했다. 특히 남학생들보다 여학생들의 뇌가 더 민감해 손상되기 더 쉽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충동적인 행동을 하거나 갑자기 성격이 달라 보이거나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부모가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을 계속한다면 심각한 정신적인 문제를 암시하는 증상으로 봐야 한다”면서 “자녀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뇌 기능 장애는 몸의 질병이라는 점에서 감기와 다를 바가 없어요. 감기 같은 작은 병도 오래 방치하면 폐렴이나 여타 질환으로 발전하듯이 뇌 기능 장애도 마찬가지입니다. 감기에 걸리면 약을 먹듯이 뇌가 아프면 약을 먹는 게 당연하다는 인식을 가져야 해요. 예를 들어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전체 아동 가운데 15~20%가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됐는데, 약물 치료로 거의 완치되는 확률도 높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 전학을 자주 했거나, 부모가 이혼하거나 육체적으로 심하게 학대를 받은 아이는 뇌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지적한 뒤 한 예로 우리 사회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뇌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고 밝혔다.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정신 질환이 아주 심각한 수준입니다. 아동 시기 때부터 언어 장애, 학습장애, 자폐증과 같은 발달 장애를 겪는 아이들이 대다수에요. 이 아이들이 중학교, 고등학교로 진학하면서 중퇴율이 3/1, 3/2 수준으로 높아집니다. 결국 사회 부적응자로 전락하게 되는 것이죠. 아이 때부터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시급한데, 거의 방치되고 있다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김 원장은 전국 180여개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 아이들의 정신건강을 다룬 자신의 저서들을 보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그는 책을 받은 한 다문화가정지원센터 소장이 ‘한 아이가 자폐증으로 발전되어가는 것을 마냥 지켜보고만 있어야 하는 안타까움이 컸는데, 책을 보고 ‘한줄기 희망을 본 것 같다’는 감사편지를 보내왔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김 원장은 “다문화가정 아이들이 우리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올바르게 자라기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서 적극적이고 특별한 지원 정책을 펼쳐야 한다”면서 “정신 장애를 갖고 있는 일부 아이들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고, 소외된 아이들은 우리 사회가 따뜻한 관심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화 원장은





서울강동소아정신과 원장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및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서울대학교 병원 소아정신과 전임의를 수료했다. 미국 유타주립대학 소아정신과 임상의, 유타주 PCMC(Primary Children's Medical Center) 임상의,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신경과 전문의, 정신과 전문의, 서울대 소아정신과 임상자문의, 서울아산병원 소아정신과 임상자문의 등을 역임했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내 아이 마음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 <다문화 사회와 어린이(역서)>, <청소년 정신분열증 환자 모친의 정신병리에 관한 연구> 외 다수가 있다. KBS, SBS, EBS TV, EBS 라디오, 평화방송에서 자녀교육상담 프로그램을 수년 간 진행했다.

<주진 기자 jj@asiatoday.co.kr>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483487